동적할당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([C++] 23강) 메모리 동적할당 new, delete 안녕하세요, 이번 시간에는 C++에서의 메모리 동적할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! C언어에서 메모리의 동적할당에 대한 개념을 읽어 보셨나요? 적어도 메모리 동적할당에 대해 알아보려면 "배열은 포인터다" 라는 개념정도는 알고 계셔야합니다! 자 배열을 하나 만들어봅시다! int arr[5]; int * ptr = arr; int 배열 arr을 5의 길이만큼 만들고 그 0번째 요소의 주솟값을 ptr에 할당했습니다! 그럼 ptr의 값 부분에 접근해서 arr내의 요소를 수정할수 있겠네요! 하지만 만약에 내가 고정적으로 5의 길이가 아니고, 사용자에게 입력받은 입력값을 변수에 담아서, 그 길이만큼 배열을 만들수 있을까요? 위와같은 코드로는 불가능합니다, 하지만 동적할당으로는 가능하죠! 그냥 단순 변수를 만든다던지, .. ([C언어] 23강) 메모리의 동적할당 (malloc, calloc, realloc, free) 안녕하세요 잭클입니다. 이번시간에는 메모리의 동적할당에 대해 배워볼까 하는데요! 우선 우리가 배열은 포인터다 라는 개념을 알고있으니 int arr[4]; int * ptrArr = arr; 이 코드의 의미를 알고있을겁니다. 자 그럼 아래 코드를 한번 보시죠 int arr; int * ptrArr = &arr; 자 위 코드를 보시면 1번코드 2번코드의 ptrArr은 모두 int 포인터형 변수라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코드 모두에 ptrArr[1];을 해주면 두번째코드에서만 오류를 발견하게됩니다. 어차피 포인터는 자신이 포인터인것만 기억할뿐, 배열이라는것은 모를텐데 왜 둘의 결과가 다른걸까요? 이유는 이렇습니다. 1번코드에서는 4개 배열인 arr이 생성되면서 메모리에서 4개의 공간을 내주게 됩니다. .. 이전 1 다음